본문 바로가기
수업

자료구조 트리(1)

by Qmais 2024. 8. 13.

이번에는 트리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가장 먼저 트리의 개념과 트리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트리란?

트리는 각각의 자료들을 계층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자료구조입니다.

주로 자료들 간의 관계나 상-하위 관계를 표현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나무(tree)를 뒤집은 것 같이 생겼습니다. 위에서 부터 뿌리로 점점 내려오는 느낌!

용어를 하나하나 정리해 보면

노드: 하나하나의 동그라미들을 노드라고 합니다.

간선: 노드들을 연결하는 선들을 간선이라고 합니다.

근노드: 뿌리노드라는 의미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노드를 의미합니다.

단노드: 자식이 없는 노드를 의미합니다.

부모노드, 자식노드: 연결되어 있는 노드의 위에 있는 것이 부모노드이고, 아래 있는것이 자식노드입니다.

형제노드: 부모가 같은 노드들을 묶어서 부르는 것입니다.

깊이: 노드까지 오는데 쓰인 간선의 수입니다. 예시로 위 사진의 좌측하단에 있는 노드는 깊이가 3입니다.

레벨: 가장 위에서부터 Level 1이고 내려갈수록 수가 1씩 증가합니다.

높이: 근노드에서부터 얼마나 아래 있나를 알려줍니다. 예시로 위 사진은 높이가 3입니다.(깊이와 헷갈리지 않도록 합시다.)


이번글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글에서 이진 트리, 이진 트리의 순회 그리고 이진 트리의 순회를 구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최단 경로  (2) 2024.10.28
그래프 탐색 DFS  (2) 2024.10.13
그래프 탐색 BFS  (2) 2024.10.12
자료구조 트리(2)  (0) 2024.08.24
객체지향프로그래밍, C++과 C#의 차이점(자료구조 기초 사항)  (0) 2024.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