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니티 (개발 외)

[유니티] 뻘글에 가까운 유니티 미세먼지 팁 몇 가지

by Qmais 2024. 11. 12.

바로 들어갑시다.


레이아웃

유니티에서 하이어라키, 콘솔, 게임씬, 씬 등의 윈도우를 필요에 따라 다르게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게임을 개발할때는 게임씬과 씬을 세로로 길게 배치하고 PC게임을 개발할 때는 게임씬과 씬을 가로로 길게 배치하는 등이 있을 것입니다. 이때 유니티의 Layout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충 이런식으로 배치가 있을 때 이 배치를 저장해 놓고 쓸 수 있습니다. 그러면 아무리 이 배치를 바꿔도 쉽게 다시 이 배치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등록 방법은

유니티 우측상단의 Layers 옆의 버튼을 눌러 Save Layout...을 누르고 원하는 이름을 설정하면 됩니다.

그렇게 설정을하면

이 GIF처럼 배치를 저장해 놓고 빠르게 바꿀 수 있습니다.


 

이 외의 것들

Animator에서 노드들이 작아서 안 보이거나 실수로 너무 축소해서 찾기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아마도?)

그럴 때 Animator창을 누른 채로 A를 누르면 노드가 화면의 중앙에 오게 됩니다.

 

이 GIF처럼 말이죠


유니티에서 Prefabs, Materials 등으로 저장해 놓은 Assets를 한 번에 다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유니티의 Project 윈도우를 보면 Favorites라고 되어있는 폴더가 하나 있습니다. 여기를 보면

All ~~~ 이라고 되어있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 폴더를 열어보면 한눈에 Prefabs, Materials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이 GIF처럼 말이죠(2)


게임오브젝트가 많아지다 보면 이 스크립트가 어디 있었지? 하면서 찾은 적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 유니티에서 특정 스크립트가 부착된 스크립트를 쉽게 찾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예를 들기 위해서 아래 사진처럼 4개의 게임오브젝트를 만들고 그중에 뒤에 괄호가 없는 게임오브젝트에만 TestScripts라는 스크립트를 넣어놓았습니다.

이렇게 세팅을 하고 TestScripts스크립트를 우클릭한 후

Find References In Scene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하이어라키에 그 스크립트를 가지고 있는 게임 오브젝트만 하이어라키에 표시되게 됩니다.

이 GIF처럼 말이죠(3)


마무리

이번 글을 여기까지입니다.